두껍다.

원화가의 일러스트 대부분이 실려있으나 코미케 상품으로 팔았던 캔배지 일러스트(오슈토르, 우콘)는 빠져있다. 필살기 컷인 파트에서도 확인 불가능하다.

스탠딩CG 파트도 플라이어블 캐릭터 중심이며, 1 인물들은 많이 빠졌다.

설정화 파트에서 원화가의 코멘트가 적혀있는 것은 2, 3 주역 한정이다. 1 인물들은 한페이지도 차지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따로 코멘트는 없다.

인터뷰는 실려있지 않다. 몇몇 캐릭터들에 대한 비화는 위에서 말한 코멘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3D 모션도 전부 실려있지는 않다. 단적으로 하쿠의 경우만 봐도 알 수 있다.

본책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일러스트는 표지의 하쿠&쿠온이 전부다. 화집만을 위해 추가로 그린 일러스트는 없다.

세계관 설정이 상세한 편이다(건물 배치도 등)

엑스트라 캐릭터들(적병) 설정화도 있어서 명확하게 종족 등을 밝히지는 않지만 이런 설정화를 통해 추측하는 게 가능하다. 이를테면 티리랴라이의 이마의 장식이 우루사라와 마찬가지로 뿔이었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뿔이라고 적혀있다.

미카도 젊을 때 얼굴이 두 개 실렸는데 워시스와 헤어스타일 빼고 똑같다. 30대 얼굴에서 벌써 주름이 보이므로 하쿠 동결 직전의 나이도 30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쿠온의 황녀 복장은 안쪽은 카루라, 겉옷은 쿠야의 것을 색만 바꾼 것이다.

목차에 있던 위찰네미테아는 작중 등장한 검은쪽의 설정화이다.

하쿠가 신이되었을 때의 설정화도 존재하며, 이전 글에 올린 그게 전부이다.


전체적으로 이것저것 많이 실려있는 것 같으면서도 워낙 여러 내용을 다루고 있다보니 캐릭터별로 할당된 양은 많지 않은 느낌이다.

세계관과 에필로그 이후에 대해 인터뷰같은 거 없나 싶었지만 없어서 정말 아쉬웠다. 그야말로 화집이라는 이름에 충실하게 거의 그림만 있다.

어디까지나 거짓의 가면, 두 명의 백황 화집으로 나온 거라서 자장가 인물들 비중이 매우 적으니 자장가 팬에게는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 않다.
그 분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라면… 명색이 주인공이었던 하쿠오로는 scg 파트에만 실려있는데(목차에서 확인 가능) 그 페이지 왼쪽 상단에 한컷 차지하고 있다. 전신이 아니고 인게임에서 나온 것처럼 반신만 나온다.

그래도 우르토리, 카뮤, 에루루 설정화는 상대적으로 분량이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