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종언의 세계록은 영용 엘라인이 남긴 세계록(앙코르)을 찾기위해 과거 엘라인의 동료였던 인물과 주인공 렌이 모험을 하는 이야기이다. 렌은 영용의 환생이라 여겨질 정도로 외모가 그와 닮았지만 능력은 훨씬 못미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다른 분야에 특별한 재능이 있음이 밝혀져 다른 인물임이 재차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독자들은 세 공주가 렌을 엘라인으로 착각하는 모습 등을 보고 별개인이 아닌 엘라인의 환생일 것이라 예상하는 경우가 많다. 솔직히 환생이라는 소재는 진부하기 때문에 작가를 믿고 엘라인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환생일 것이라는 주장을 반박하기엔 아직 근거가 부족하다. 그런데 엘라인과 렌처럼 동일인물로 여겨질 정도로 닮은 선조와 후손의 관계는 의외로 작가가 이미 소개한 적이 있다. 세계..
불완전 신성기관 이리스 검색 결과
아직 상세 묘사를 많이 읽지 않아서 잘 모르지만 세계 종언의 세계록에서 정령 신앙의 중심이 되는 성녀의 이름이 낯익다. 엘리에스 시아 린 케일 머리색은 4권 표지 보니까 푸른색에 가까운 것 같고. 그런 머리색부터 어딘지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존재는 빙결경계의 에덴, 불완전 신성기관 이리스에 나온 황녀 사라(샤사)다. 샤사의 풀네임은 샤사 엔덴스 린 케일. 사자네 케이 이양반이 아무 생각없이 이름을 짓지 않았을테니 간접적으로라도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게 속편할 것 같다. 근데 같은 집안이니 뭐니 하면 얘들은 각 세계에서 성녀 자리를 독식하는 존재로 볼 수도 있겠다. 이렇게 해도 왠지 재밌겠지만 설마 그러지는 않겠지. 추가로 세계 종언의 세계록에서 시온이라는 기사가 나오는데 설마 에덴, 이리스에 나온 ..
이미지 : http://www.novelengine.com/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17965238 어디서 많이 본 인물상과 그들의 관계. 작가의 전작 『불완전 신성기관 이리스』가 떠오르는 책이었다. 주인공 미소라의 구체적인 사상이 어쨌건 인물간의 구도가 이리스와 많이 비슷했다. 인간-안드로이드였던 게 인간-바이오테스터(천사)로 바뀌었다고 할까. 주인공이 특수한 능력을 지녔다는 것도, 여주인공이 엄청난 힘을 가졌다는 것도 같다. 물론 이렇게 하면 작가의 작품을 통틀어서 그러지 않은 시리즈를 찾기가 더 힘들겠지만. 특히 캐릭터성에 있어서 피아는 이리스와 비슷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인물평을 넘어서 작중 내용을 보자면 과연 세계관을 정통으로 계승했음을 보여주는 피오라미..
http://www.novelengine.com/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17965301 천사 피오라미리스피아 C4 아나스타샤 여주인공으로 추측되는 인물이 꽤 마음에 걸린다. 작가의 전작에서 언급된적은 없는 것 같아서 넘어가기 쉬운 부분인데 비슷한 속성의 인물이 거의 동시에 연재 중인 다른 소설에 나오고 있다. 다름이 아니라 이전에 사자네 케이 세계관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고 한 『세계 종언의 세계록』에 나오는 '피아'라는 인물이다. http://bc.mediafactory.jp/bunkoj/sekai/ 설명에 따르면 피아는 엘라인의 과거 동료이면서 천계 최강이라 여겨지는 대천사라고 한다. 이렇듯 같은 이름에 같은 종족(?), 외모마저도 비슷한 인물이 같은 작가의 ..
빙결경계의 에덴, 불완전 신성기관 이리스가 작가의 전작 황혼색의 명영사, 차기작 사이렌과 연관된다는 것을 알게 된 독자들이 위 네 작품을 사자네 케이 연대기라고 부르던데, 연대기의 정의와 완벽히 들어맞지 않는 것 같아서 불편하다. 네 작품이 세라로 묶여있다는 건 사실이지만 세계와 시간대가 실질적으로 이어진 건 이리스와 에덴 뿐이다. 세계를 넘나들지만 서로 인과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이유로 연대기의 범위에 넣어야 하나. 일단 전부 같은 세계여야 시대순으로 정리라도 할 수 있을텐데. 연대기의 정의를 너무 빡빡하게 생각한다고 느낄지도 모르겠지만 거슬리는 건 거슬리는 부분이다. 애초에 작가가 자신의 글이 연대기라고 밝히지 않은 이상 이 정도는 독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충돌되어도 그러려니 넘길 수 있는 범위라..
누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미정발된 부분에 관해서는 어떤 인물의 풀네임에 관한 것 뿐입니다.그래도 혹시 모르니 접어두겠습니다. 이름 표기는 위키를 참고했습니다. 에덴에서 이름만 나온 무녀 제 일위는 엘미티아 유 라스카라고 하며 붉은 머리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エルミーティア・遊・ラスカ 그리고 이리스에서 계속 나오는 미카엘의 풀네임은 미카엘 유티아 라스카. 붉은 머리입니다.ミカエル・ユーティア・ラスカ 미카엘의 이름 배열을 바꿔보면エル ミ ー ティア ユ ラスカ 遊는 유 혹은 유우로 발음됩니다. 따라서 ユー 라는 장음을 그냥 遊로 바꿔도 괜찮지요.그러면서 남는 장음 표기는 살짝 미 뒤에 붙여버리는 것으로 완성입니다. 에덴, 이리스 위키에서도 일부러인지(일단 추측성이니) 적혀있지 않습니다.검색해보니 이리스 완..
제목을 저렇게 달긴 했지만 제대로 된 분석은 아닙니다. 체계적인 정리는 시작도 안 했지요. 황혼색의 명영사를 읽고, 빙결경계의 에덴 미정발 부분의 리뷰와 위키를 읽어보니 이 세계관이 이어져있는 건 거의 확실한 것 같습니다.처음엔 작가가 세라페노 아까워서 썼나보다 싶었는데 그 이상의 의미가 있었던 거죠. 아무튼 빙결경계의 에덴(정발된 부분까지)의 단어, 문장을 다 베껴 적었는데요.팔이 아픈 건 둘째치고 정리할 생각을 하니 막막하더라고요. 이게 빙결경계에서 처음 쓰인 게 아니므로 검색해보니 일본 블로그에서 정리해둔 것을(황명 ver) 번역해두신 블로그가!거기엔 황명이랑 에덴의 것이 약단 다른 체계라고 밝히고 있지만.. 그걸 바탕으로 문장 하나를 해석해보았습니다.해석이라기보단 명사, 동사 등으로 나눠본 정도죠..
국내에 정식으로 출간된 사자네 케이 작가의 소설을 주말동안 다 읽었습니다.빙결경계->이리스->황명 순서대로 읽었는데 작품들 사이의 연관성이 상당하더라고요. 딱 정발된 권들 까지만 봤는데도 이렇길래 미정발된 빙결경계 10, 11권에 관한 내용과 위키를 찾아봤습니다. 아래의 내용엔 누설이 있으니 접어두겠습니다.참고로 제가 소설/자료를 접한 순서는 빙결->이리스->빙결(미정발 리뷰)->황명->위키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빙결경계 미정발된 부분까지 찾아봤을 때 샤오라는 알 수 없는 인물이 튀어나오더라고요.이리스에서도(1권 기준) 안 나오고 빙결경계에서도 없길래 이건 또 뭔가 싶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황명에 나오는 놈이었네요? 그리고 아마릴리스(금단수정)을 위키에서 찾아보니 금단수정 :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