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송받는 자 참 관련 이전 인터뷰 일부는 다음과 같다. 3D 그래픽은 신규조작 캐릭터 다수가능하면 많은 캐릭터를 등장시킬 것악곡은 상쾌함을 콘셉트로 잡았다. 멜로디는 원곡을 사용했지만 기분 좋은 액션을 체험하게끔 리듬감을 중시했다.지금까지는 영화 같은 bgm이었다면 보다 게임다운 bgm으로.신규 녹음 있음본작을 하지 않았더라도 애니메이션을 보는 감각으로 스토리를 체험할 수 있다.일러스트에 가까운 3d 모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이 내용들은 의외로 대부분 이 PV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특히 '애니메이션을 보는 감각으로 스토리를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 잘 드러났고 생각한다. 이 글은 어디까지나 추측이기 때문에 추후 공개되는 정보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PV 시작부터 배경이 유적이다..
게임/칭송받는 자 검색 결과
SEM(특별판)으로 클리어했을 때 기준.() 안은 정발판 트로피명 1. 荒ぶるもの大行進(난폭한 자의 행진)도구도감 완성 시 활성화. 아마 특전 탭에 생기는데 피아 레벨 50 고정으로 보스 러시를 즐길 수 있음.클리어하면 에루루 CG가 나옴.그리고 전투회상에 추가됨. 2. 蒐集ここに極まれり(궁극의 수집가)도구도감 완성하기. 연습의 모든 스테이지를 각각 4번씩 깨면 모든 연습에서 나오는 모든 도구를 획득할 수 있음. 도구는 확률적으로 획득하는 게 아니고 한 스테이지를 4번 깨면 확정 획득.(각 횟수마다 25 75 100 이런식으로 % 채워짐) 이렇게 하면 연습 도구 100% 트로피도 겸사겸사 딸 수 있다.그 외 비는 도구는 번호 확인해서 전투회상 해당 스테이지 찾아서 깨면 됨. 미습득 도구들도 전투회상 선택..
추가 스테이지 제외 스토리만 끝낸 시점에서 29시간 걸렸다. 원작을 한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비교하는 부분에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다. 추가 캐릭터, 스토리가 없어서 그에 대한 내용은 담지 않았다. 시스템 전반 설정 옵션의 경우 원작을 의식했는지 설정에서 조정바 색깔 등이 이전과 비슷하다. 용어사전이 아쉬운데, 거짓의 가면과 두 명의 백황에서는 설명과 함께 일러스트를 수록했지만 이번 리메이크에는 글만 있다. 2회차 인계 플레이가 가능하다. SRPG 파트 연격을 이어갈 경우 데미지가 증가했던 것이 빠지고 기력 증가(성공했을 때 +2)만 가능하게 되었다. 연격을 완벽하게 성공할 필요성이 줄어든 것이다. 공격할 때 각 유닛별 속성 공격이 없어졌다(술법 제외). 화속성인 오보로로 공격을 할 경우, 이펙트상 ..
이 글은 현재 티저 사이트만 공개된 게임의 추측성 글임을 밝힘. 처음엔 다수의 파란 배경 스크린샷을 보고, 배경이 동일한 것을 보니 필살기 연출이겠거니 싶었으며 거짓의 가면에서 따온 동작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에 비교해봤다. 우선 하쿠는 저런 방향으로 철선을 펴지 않는다.쿠온도 불을 뿜던 연기(물총세 3연)가 있긴 했지만 정작 필살기에서는 쿠나이를 던지거나 주먹을 내지르지 정작 불꽃은 없다.이건 오우기도 마찬가지인데, 가진 연기 대부분 이어가다 보면 검에 불이 붙고 난리도 아닌데 필살기에서는 얌전하다.네코네가 결정적이라면 결정적이다. 네코네는 필살기 연출에서 진이 나오지 않는다. 저 장면들이 필살기 시전하는 것을 찍은 것이라면 적어도 거짓의 가면 이미지보드를 그대로 쓴 것은 아닐 것이다.일반 동작(연기)..
칭송받는 자 두 명의 백황 협격필살기의 명칭은 각 인물을 의미하는 한자 한 글자씩 붙여서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아무 의미 없이 붙였다기에는 캐릭터성을 의미하는 부분이 분명 있기 때문에 정리해보았다. 한자 뜻 중 특히 어울린다 생각되는 부분은 굵게 처리해두겠다.한자사전, 일본어사전, 그 외를 출처로 한다(해당하는 부분 출처 표시해두겠음) 오슈토르(仁)1. 어질다, 자애롭다, 인자하다(仁慈--)2. 감각(感覺)이 있다, 민감하다(敏感--)3. 사랑하다4. 불쌍히 여기다5. 어진 이, 현자(賢者)6. 인, 어진 마음, 박애(博愛) 일부 인용 http://hanja.naver.com/hanja?q=%E4%BB%81 1. 어진 마음; 인자함.2. 사람. 일부 인용 http://jpdic.naver.com/en..
칭송받는 자 시리즈는 타마키, 사사라를 제외하면 DLC로 캐릭터를 내지 않았는데이번에는 모델링을 많이 만들어놔서인지 후속작 캐릭터들 DLC를 매장특전으로 내놓았다.그런데 보다시피 색이 다르다.처음에는 혹시 몽환연무 등 오마케 던전에서 후속작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피아 구분이 쉽게 하려고 DLC 캐릭터 색을 바꿨나 싶었는데 상단에 특전 관련 설명을 보면 추후 유료 판매 예정이 있는 캐릭터의 어나더 컬러라고 되어있다.즉, 위 5인의 DLC는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이 경우 DLC 캐릭터의 기술과 특성이 2를 따라갈지 3을 따라갈지와 우콘에게 필살기가 생기는지 궁금해진다. 개인적으로 마시로님이나 하쿠토르도 원하는데 이쪽은 스포일러 때문에 안되는 건가…….
2018년 리메이크판 칭송받는 자 흩어져가는 자들을 위한 자장가가면, 백황 때의 대화창을 사용.그 두 작품에서 쓰인 소스를 충분히 활용했다는 느낌. 2006년 감수성이 그대로 느껴지는 SCG그나마 배경은 새로 그렸다던 것 같다. 먼저 첫 번째 스크린샷에서 왼쪽의 캐릭터 얼굴을 보면 백황 액터 보이스와 용어사전에 사용된 일러스트로그 다음 소개에 나오는 일러스트(세 번째)와 다르다. 그런데 에루루는 옛날 일러스트를 그대로 사용했다(첫 번째).사실 하쿠오로 일러스트도 옛날 거가 있는데 색칠 다시 해서 쓰지 않고 백황에서 나왔던 걸 썼다는 게 오히려 신기하다. 유즈하는 전투 파트에 참가하지 않기 때문에 이 일러스트는 인게임에서는 어지간해서 볼 일이 없겠지.그나마 희망이 있다면 몽환연무나 용어사전 정도에 나오지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