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칭송받는 자 검색 결과
바뀐 게 없는 줄 알고 그냥 넘겼던 테오로와 투스쿨도 차이점이 있어서 만들어봤다.그런데 이 캐릭터들은 도드라지게 다른 점은 없다.거의 손을 안 대는 경우를 이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원본의 불투명도 50%크기 조절 전에도 너무 잘 맞아서 바뀐 게 없어보였다. 그래도 약간 안맞던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조금 늘인 것(비율 유지) 불투명도 75% 불투명도 100% 비슷한데? 거의 비슷한데 인상이 좀 더 좋아짐.입 모양 50% 75%100%정말 다른게 없어보인다. 표정이 조금 더 불쌍해진 것 같은 느낌.이거도 입 모양.
이번에 공개된 쿠온 위찰 빙의 모습.참고로 투스쿨 황녀의 화려한 나날 각본은 메인 시나리오라이터인 스가 무네미츠가 썼다.즉, 어떻게든 본편과 이어지는 영상이라는 말인데. 언제쯤 있던 일일까? 이 시기의 쿠온은 동포 운운하는 소리를 듣는다고 에루루에게 밝히고(그때 처음 알게 된듯) 쿠온의 안전을 위해 에루루는 봉인 쐐기 역할을 하러 떠나는데 보다시피 쿠온의 머리가 짧다. 물론 화려한 나날 사건을 겪고 머리를 잘랐다고 볼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화려한 나날 시점에 위찰네미테아 빙의 모습을 목격했음에도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다가 쿠온이 직접 말을 꺼냈을 때 비로소 온카미야무카이 지하로 갔단 말인가? 사실 저걸 목격한 시점에서 대봉인이라도 날려야 맞는데.본편을 봐도 말로 유혹해대는 위찰네미테아에게 허락을 하..
이전글 http://sgepk.tistory.com/1155 홈페이지에 공개된 스크린샷 확대가 가능한 걸 지금 알아서 카루라 SCG를 비교해보기로 했다.카루라는 소포쿠보다 더 맞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나중에 정식으로 공개되면 맞춰볼 생각이다. 그러나 주요 인물들은 새 일러스트로 그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비교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르겠다. 비슷하게 크기를 조절해서 나란히 맞춘다. 불투명도 50% 소포쿠보다 더 수정되었다 생각되는 캐릭터.보통 턱선에 맞추고 크기를 조절하는데, 턱선에 맞췄을 경우(위 이미지) 보다시피 머리카락이 일부 맞지 않는다. 땋은 머리는 물론이고 윗머리도 원본이 더 각진 느낌이다.상반신은 비슷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쇠사슬 부분을 중심으로 맞춰보..
12월 26일 공개된 SCG는 해당 인물들이 주역이 아니어서인지 원작 때와 차이가 거의 없다.일단 비교해보면 색감은 조금 바뀐 것 같지만 큰 변화는 없다.그런데……. 소포쿠 일러스트를 볼 때 위화감이 느껴졌다.뭔가 더 예뻐진 것 같은 느낌?그래서 뭐가 달라졌을까 직접 비교해보기로 했다. 두 일러스트를 거의 같은 크기로 맞추고 겹친 뒤(원작 일러스트는 불투명도 0%) 불투명도 50% 불투명도 100% 원작에 비해 리메이크 일러스트에서는 코와 입 위치가 조정된 것 같다!사실 코는 채색을 하면서 선을 덮은 정도로도 볼 수 있지만 어쨌든 살짝 위치가 바뀌었고입은 아예 비교되게 내려갔다. 비교용 gif 파일 이건 좀 느리게. 다른 캐릭터의 스탠딩 CG도 완전히 새로 그리지는 않더라도 이목구비의 수정 정도는 해줄지..
사장이 칭송받는 자 시리즈 타이틀을 3~4개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으니 나올 법한 게 뭐가 있을지 생각해보기로 했다.하나는 자장가, 하나는 UTZ인 듯하나 다른 두 개는 어떤 내용일까? 1. 칭송받는 자 제로-투스쿨 전 대전(大戰)http://blog.hokanko-alt.com/archives/48349716.html제작진들이 간략하게나마 설정이 준비되어 있다는 전 대전 이야기. 간단하게 말해 투스쿨의 젊은 시절 이야기. 투스쿨: 에루루라는 이름의 언니가 있었으나 어릴적 무티카파의 산제물이 되어 사망. 그런데 에루루에게는 야나미우나(숲의 어머니)의 능력이 있던 것으로 묘사되는데 왜 죽었는지는 모르겠다. 언니에게 물려받은 고리(마스터키) 보유. 대전 중에는 온카미야무카이에서 살고 있었으나 패배 이후 야마유..
북미판에서 변경점은 없지만 북미판이 나와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캐릭터의 영문 표기는 물론이며 몇몇 대사의 의미를 더 명확히 알 수 있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게임 스크린샷 찍어 올리는 게 불편한 관계로 영상 캡쳐로 대신한다. 원문에서는 '온카미 위찰네미테아여, 온비타이카얀이여'라고 한다.온비타이카얀에는 따로 온카미를 붙이지 않은 것.중복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뒤에는 생략한 것이라 할 수도 있었지만 투스쿨에서 온카미란 위찰네미테아뿐이기 때문에(샤쿠코포루는 예외) 당연히 온비타이카얀도 지칭한다고 생각하지 못했으나 북미판에서는 온비타이카얀에게도 붙여주었다.야마토에서 위찰네미테아의 인지도는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투스쿨이 자중한 게 아닌가 상상할 수도 있고샤쿠코포루까지 포용했다는 의미로 붙여준 것일 수도 있고...
다시 봐도 아쉬움이 남는 구일러 재탕.추후 새 PV 또는 공식 홈페이지 어드벤처 파트 설명에서도 위와 같은 일러스트들이 사용된 게 확인하면 일러스트가 교체될 것이라는 희망은 더 이상 가질 수 없다.그래도 등장인물 소개하려고만 새로 그린 건 아닐 듯한데 어디에 썼냐면 전투파트 아군 유닛에…….그런데 그러면 전투 파트에는 등장하지 않는 유즈하는 왜 그렸는지 궁금해지는데 여차하면 몽환연무같은 거에서 쓰려나? 참고로 이번 리메이크작에 예산이 별로 안 들어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적 유닛 일러스트도 재활용이다. 이마의 문장 빼고 똑같다.물론 일개 병사이니 일러스트 새로 그려줄 이유가 없기도 하고훗날 투스쿨이 통일하면 저 병사들도 투스쿨 전력이 되니 같아도 이해는 할 수 있지만뭐… 현세대기로 1편을 할 수 없으..
최근댓글